본문 바로가기
2. 일본기업 직무/마케팅·홍보

일본 기업의 PR·홍보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by info-foryou-1 2025. 9. 1.

1. PR·홍보 직무의 의미

PR(Public Relations)·홍보 직무는 기업과 외부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신뢰를 구축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활동을 담당한다. 언론 대응, 보도자료 작성, 위기 관리, 사내 커뮤니케이션까지 영역이 넓다. 단순히 “홍보물 제작”이 아니라 기업 평판과 직결되는 전략적 직무다.
한국과 일본 모두 대기업과 글로벌 브랜드가 많아 PR·홍보는 필수 부서지만, 기업 문화와 미디어 환경이 달라 접근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특히 일본은 독자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언론 문화가 있어서, 일본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이를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일본 기업의 PR·홍보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2. 한국 기업의 PR·홍보: 속도와 미디어 다양성

한국 기업의 홍보팀은 빠른 대응력과 다양한 채널 활용이 특징이다.

  • 빠른 속도의 언론 대응: 이슈가 발생하면 몇 시간 내 보도자료를 배포하거나 기자간담회를 열어 적극적으로 해명한다.
  • SNS 활용: 기업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 디지털 채널을 통해 소비자와 직접 소통한다.
  • 위기 대응의 공격성: 위기 상황에서 반박 자료를 내거나 CEO 인터뷰를 신속히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입장을 취한다.
  • 사례: 삼성전자는 글로벌 이슈가 발생할 때 실시간 보도자료와 SNS 공지를 통해 신속히 대응하는 체계를 갖췄다. 이는 기업의 역동성과 미디어 환경의 빠른 변화를 반영한다.

📌  한국식 PR은 “속도와 다채로운 채널 활용”으로 요약된다.

 

 

3. 일본 기업의 PR·홍보: 신뢰와 합의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일본 기업의 PR은 한국과 달리 신중함과 합의 기반이 두드러진다.

  • 언론 중심: 일본은 신문과 TV 등 전통 미디어 영향력이 여전히 크다. 기업 홍보팀은 기자클럽(記者クラブ)을 통해 언론과 관계를 맺으며, 신뢰를 중시한다.
  • 사전 조율(根回し, 네마와시): 보도자료를 내기 전 관련 부서와 충분히 논의해 내부 합의를 이룬다. 섣부른 발표보다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의견이 반영된 메시지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 위기 대응의 신중성: 위기 상황에서는 즉각 반박하기보다, 사실 확인과 책임 소재 파악 후 “사과와 재발 방지책”을 제시하는 방식이 많다.
  • 사례: 도요타는 글로벌 리콜 사태 당시, 문제를 인정하고 개선책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빠른 반박보다는 책임 있는 태도와 장기적 신뢰 회복을 중시했다.

📌 일본식 PR은 “신중한 합의와 신뢰 구축”으로 요약된다.

 

4. 한국 vs 일본 비교, 그리고 일본취업 전략


대응 속도 빠른 대응, 공격적 해명 신중한 대응, 합의 후 발표
채널 활용 SNS, 디지털 다양성 전통 미디어 중심
위기 관리 즉각 반박·해명 사과·재발 방지책 강조
커뮤니케이션 방식 직접적, 적극적 간접적, 합의 기반

 

5. 일본 취업을 위한 PR·홍보 직무 준비 팁

※ 이력서 작성

  • 한국식 경험: “위기 시 빠른 대응 경험”
  • 일본식 강조: “신속하면서도 이해관계자와 협의하여 대응한 경험”

※ 면접에서 강조할 점

  • 잘못된 접근: “즉시 해명 경험”만 강조 → 신중함 부족으로 보일 수 있음
  • 바람직한 접근: “빠른 대응을 하되, 사실 검증과 관계자 협의를 병행했다”는 점을 설명

※일본어 표현 정리

  • 記者クラブ(きしゃクラブ, 기자클럽)
  • 広報戦略(こうほうせんりゃく, 홍보 전략)
  • 危機管理(ききかんり, 위기 관리)
  • 信頼回復(しんらいかいふく, 신뢰 회복)
  • 根回し(ねまわし, 사전 조율)

※  면접 예시 문장

  • 「危機管理において迅速な対応だけでなく、関係部署との合意形成を重視しました。」
    (위기 관리에서 신속한 대응뿐 아니라, 관련 부서와의 합의 형성을 중시했습니다.)
  • 「御社の広報戦略において、信頼回復に貢献できると考えております。」
    (귀사의 홍보 전략에서 신뢰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무리: 속도 vs 신중함, 결국 메시지를 어떻게 신뢰로 해석할 것인가

한국 기업의 PR·홍보는 속도와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적극적 대응이 특징이고, 일본 기업의 PR·홍보는 합의와 신뢰를 중시하는 신중한 접근이 특징이다. 일본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한국식 빠른 대응 경험을 일본식 신뢰 회복 전략으로 연결해 어필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