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무 직무의 의미
재무(Finance) 담당자는 기업의 자금을 관리하고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는 핵심 직무를 맡는다. 단순히 회계 장부를 관리하는 수준을 넘어, 자금 조달·투자 계획·리스크 관리·재무 전략 수립까지 관여한다.
기업의 성장과 안정성은 재무팀이 얼마나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움직이는가에 달려 있다. 한국과 일본 모두 재무 직무는 필수적이지만, 기업 문화와 시장 환경의 차이로 업무 방식과 평가 기준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2. 한국 기업의 재무: 속도와 투자 중심
한국의 재무 담당자는 빠른 의사결정과 공격적 투자 전략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 자금 조달: 단기 자금 조달이나 외부 투자 유치를 빠르게 실행한다.
- 투자 관리: 신규 사업이나 M&A 추진 시 재무팀이 리스크를 감수하고도 적극적인 투자를 승인한다.
- 성과 평가: 분기 실적, 현금 흐름 개선, 투자 수익률 등이 중요한 성과 지표다.
- 사례: 한국 대기업은 신사업에 빠르게 진출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고, 단기 수익성보다 시장 선점 효과를 우선시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IT기업은 플랫폼 확장을 위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지출하고 이를 재무팀이 뒷받침한다.
📌 한국식 재무 요약: 속도·투자 중심·공격적 자금 운용
3. 일본 기업의 재무: 안정성과 보수적 운영
일본의 재무 담당자는 안정성과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중시한다.
- 자금 운용: 외부 차입보다는 내부 유보금을 활용하는 보수적 운영이 많다.
- 리스크 관리: 불확실성이 크면 투자를 지연하거나 철저히 검증한 후 진행한다.
- 성과 평가: 단기 수익성보다는 장기적 안정, 부채비율 관리, 신용등급 유지가 중요하다.
- 사례: 일본 제조기업은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외부 차입을 줄이고, 자본 적립을 통해 장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식을 고수한다. 도요타는 “현금 보유 전략”으로 불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재무 구조를 유지한다.
📌 일본식 재무 요약: 안정성·보수적 자금 운용·장기적 지속성
4. 한국 vs 일본 재무 비교
자금 조달 | 외부 투자·차입 적극 활용 | 내부 유보금 중심 |
투자 성향 | 공격적·속도 중시 | 보수적·신중한 검토 |
평가 기준 | 단기 실적·ROI | 장기 안정·신용등급 |
운영 방식 | 시장 선점형 | 위기 대응형 |
5. 일본 취업을 위한 재무 직무 준비 팁
※ 이력서 작성
- 한국식 경험: “외부 투자 유치로 1년간 자금 500억 확보, 신사업 확장 지원”
- 일본식 강조: “자금 조달 경험을 바탕으로, 내부 유보금 관리와 장기적 안정성 강화에 기여”
※ 면접에서 강조할 점
- 잘못된 접근: 단기 성과와 공격적 투자 경험만 강조
- 바람직한 접근: “신속한 투자 경험”을 설명하면서, 그것이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재무 안정성”으로 이어졌음을 강조
※ 일본어 표현 정리
- 財務管理(ざいむかんり, 재무 관리)
- 内部留保(ないぶりゅうほ, 내부 유보금)
- 資金調達(しきんちょうたつ, 자금 조달)
- 信用格付け(しんようかくづけ, 신용등급)
- 長期的安定(ちょうきてきあんてい, 장기적 안정)
※ 면접 예시 문장
- 「韓国での積極的な資金調達の経験を、日本企業の長期的安定に活かしたいと考えています。」
(한국에서의 적극적인 자금 조달 경험을 일본 기업의 장기적 안정에 활용하고 싶습니다.) - 「内部留保を活かした財務戦略にも関心を持ち、御社の持続的成長に貢献できると考えています。」(내부 유보금을 활용한 재무 전략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귀사의 지속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무리: 속도 vs 안정, 재무 경험을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으로 전환하는 관점이 핵심
한국 기업의 재무는 빠른 자금 운용과 공격적 투자를 통해 시장 선점을 노리며, 일본 기업의 재무는 안정성과 보수적 운영으로 장기적 지속성을 추구한다. 일본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한국식 경험을 단순한 ‘빠른 투자’로만 전달하지 말고, 그 경험이 어떻게 기업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 강조해야 한다.
즉, 속도와 공격성을 안정성과 지속성의 언어로 바꿔 제시하는 능력이 일본 기업 재무 담당자가 원하는 핵심 역량이다.
'2. 일본기업 직무 >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기업의 IR(투자자 관계)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0) | 2025.09.04 |
---|---|
일본 기업의 회계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1)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