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일본기업 직무/경영·기획

일본 기업의 경영기획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by info-foryou-1 2025. 8. 31.

1. 변화하는 글로벌 경영 환경 속, 일본식 경영기획의 접근법은?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단순한 숫자 관리가 아닌, 명확한 전략 방향 설정과 조직 전반을 통합하는 의사결정 체계가 필수적이다. 그 중심에 서 있는 직무가 바로 경영기획이다. 많은 이들이 경영기획을 단순히 보고서를 작성하고 회의를 운영하는 역할로 오해하곤 하지만, 실제로는 회사의 핵심 목표와 실행 로드맵을 설계하는 전략 부서라 할 수 있다. 특히 일본 기업의 경영기획은 한국과는 확연히 다른 방식으로 움직인다. 비슷한 산업 환경 속에서도 각국의 문화와 조직 운영 철학이 반영되며, 실무 방식도 차이를 보인다. 일본 취업을 희망하는 이들에게는 이러한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본인의 경험을 현지 기업 문화에 맞게 재구성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일본취업 직무, 경영기획은 한국과 어떻게 다를까?

2. 한국식 경영기획: 빠른 실행과 성과 중심의 업무 문화

한국 기업에서는 경영기획이 주로 단기 실적 개선빠른 전략 실행에 초점을 맞춘다. 기업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경쟁이 치열한 만큼, 대부분의 전략은 분기 또는 연간 단위로 설정되며, 명확한 수치 목표와 함께 추진된다.

 

또한 한국의 경영기획팀은 CEO 중심의 탑다운(Top-down) 구조 아래에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경영진이 방향을 제시하면, 이를 수치화하고 부서별 실행 계획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 과정에서 빠른 의사소통과 보고 역량이 요구되며, 파워포인트를 활용한 정리 능력도 기본 소양으로 평가된다.

 

실제 사례로, 대기업 A사는 매년 하반기 신제품 출시 시기에 맞춰, 경영기획팀이 시장 반응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생산·마케팅 전략을 수시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빠른 판단과 유연한 전략 수립이 필수인 환경이다.

 

📌 요약 키워드: 속도, 성과, 신속한 보고, 탑다운 구조

 

3. 일본식 경영기획: 합의와 지속 가능성 중심의 접근

일본 기업의 경영기획은 상대적으로 장기적인 비전과 조직의 내적 안정성을 중요시한다. 단기 수치에만 집중하기보다는 3~5년, 때로는 10년에 걸친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성실히 실행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경영전략 수립에 있어 보텀업(Bottom-up) 방식이 흔히 활용된다. 현장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여러 부서 간 조율을 거쳐 경영진이 최종 결정을 내리는 구조다. 이 과정에서는 일본 특유의 ‘네마와시(根回し)’ 문화, 즉 사전 조율과 합의 형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도요타의 경영기획은 단기 수익보다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포함한 장기적 가치 창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단순히 사업 수치를 넘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신뢰도 구축까지 고려한 전략이다.

 

📌 요약 키워드: 장기 비전, 합의 중심, 네마와시, 지속 가능성

 

4. 한국 vs 일본 경영기획 비교 분석

전략 주기 단기 (1년 이하) 중장기 (3~10년)
의사결정 방식 탑다운 (경영진 중심) 보텀업 (현장 의견 반영)
주요 역량 빠른 실행력, 보고 능력 조율 능력, 장기적 기획 역량
조직 문화 성과 중심, 속도 중시 안정성 중시, 공감대 형성

이러한 차이는 단지 업무 스타일의 차이가 아니라, 국가별 성장 배경과 조직 철학의 결과다. 한국은 짧은 시간 안에 고도성장을 이뤄내며 “속도”가 미덕이 되었고, 일본은 경제 버블 붕괴 이후 지속 가능성과 내부 단합을 중요시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5. 일본 취업 준비자에게 필요한 접근 전략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팁

  • “빠른 성과 창출”보다는 “지속적 기여”와 “협업 경험”을 강조하자.
  • 프로젝트 경험이 있다면, 그 결과가 어떻게 조직 전반의 장기적 개선으로 이어졌는지 연결시켜 서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면접 전략

  • 단기적 성공 사례는 장기 전략에의 기여 관점에서 풀어낼 것.
  • 조직 내 다양한 부서와의 협업 경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좋다.

※일본어 표현 정리

  • 中期経営計画 (ちゅうきけいえいけいかく): 중기 경영계획
  • 合意形成 (ごういけいせい): 합의 형성
  • 根回し (ねまわし): 사전 조율

※ 면접 예시 문장
「短期的な成果だけでなく、中長期的な成長にも貢献できる経験があります。」
(단기적 성과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경험이 있습니다.)

 

마무리: 한국 경험을 일본 기업에 맞게 재구성하자

한국에서 쌓은 경영기획 경험이 일본에서 그대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것이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핵심은 기존 경험을 일본 기업의 전략 철학에 맞게 해석하고 전달하는 능력이다.

 

단기 성과 중심의 업무도, 조직 전체의 중장기 성장을 위한 전략적 기여로 풀어낼 수 있다면, 그 자체로 일본 기업에 어필할 수 있는 훌륭한 자산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