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디자인은 단순한 ‘겉모습’이 아니다
UX/UI 디자이너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설계하는 직무다. 단순히 화면을 예쁘게 꾸미는 일이 아니라, 사용자가 서비스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연구하고 최적화하는 전략적 역할이다.
오늘날 모든 디지털 서비스에서 UX/UI는 경쟁력의 핵심이지만, 한국과 일본은 시장 특성·문화적 배경·기업 운영 방식이 달라 디자인 접근 방식에도 큰 차이가 존재한다. 일본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은 이 차이를 이해하고, 자신의 디자인 경험을 현지의 가치관과 연결해 어필해야 한다.
2. 한국 UX/UI 디자인 문화: 트렌드와 속도 중심
- 시장 반응 중시: 빠른 소비자 반응을 기반으로 UI를 업데이트하고, 트렌드에 맞게 디자인을 빠르게 바꾼다.
- 비주얼 경쟁: 경쟁 서비스보다 시각적으로 세련되고 화려한 UI를 강조한다.
- 성과 지표: 다운로드 수, 일간 활성 사용자(DAU), 클릭률 등 단기 성과와 직결된다.
- 사례: 한국의 이커머스 앱은 시즌별 UI 개편을 통해 젊은 사용자층의 관심을 끌고, 단기 매출 상승으로 이어간다.
👉 한국식 요약: 트렌드 추종·속도·단기 성과
3. 일본 UX/UI 디자인 문화: 안정성과 사용성 중심
- 보수적 디자인: 사용자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과감한 디자인 변화는 잘 하지 않는다.
- 사용자층 배려: 고령층 사용자를 고려한 직관적 UI, 과도한 애니메이션이나 변화 최소화
- 성과 지표: 안정적 사용률, 불만 감소, 장기적 고객 충성도
- 사례: 일본 은행 앱은 디자인 변화가 거의 없지만, 사용자가 ‘항상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안정감 때문에 고객 만족도가 높다.
👉 일본식 요약: 안정성·사용성·장기적 충성도
4. 한국 vs 일본 UX/UI 비교
디자인 철학 | 트렌드 반영·세련된 비주얼 | 단순·직관·보수적 |
핵심 가치 | 속도·시장 반응 | 안정성·사용자 편의 |
성과 지표 | 클릭률·매출·다운로드 | 장기적 사용 지속성 |
대상 사용자 | 젊은 세대 중심 | 전 연령, 특히 고령층 고려 |
5. 일본 취업을 위한 UX/UI 디자이너 준비 팁
※ 이력서 작성
- 한국식 경험: “앱 리뉴얼로 3개월간 다운로드 150% 증가”
- 일본식 강조: “디자인 변화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성 유지와 장기적 고객 충성도 확보에 기여”
※ 면접에서 강조할 점
- 잘못된 접근: “트렌드에 맞춰 UI를 빠르게 바꿨다”만 강조 → 안정성 부족으로 보일 수 있음
- 바람직한 접근: “빠른 디자인 개선 경험”을 말하면서, 그것이 “사용자 혼란을 줄이고 장기적 사용성 확보”로 이어졌음을 강조
※ 일본어 표현 정리
- ユーザー体験(ゆーざーたいけん, 사용자 경험)
- インターフェース設計(いんたーふぇーすせっけい, 인터페이스 설계)
- 直感的操作(ちょっかんてきそうさ, 직관적 조작)
- 高齢者配慮(こうれいしゃはいりょ, 고령자 배려)
- 継続利用(けいぞくりよう, 지속적 사용)
※ 면접 예시 문장
- 「韓国でのトレンドに合わせたデザイン経験を、日本企業の安定重視の文化に応用したいと考えています。」
(한국에서의 트렌드 중심 디자인 경험을 일본 기업의 안정 중시 문화에 적용하고 싶습니다.) - 「高齢者にも分かりやすいUI設計を通じて、幅広いユーザーの利便性向上に貢献しました。」(고령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UI 설계를 통해, 폭넓은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마무리: 트렌드 vs 안정성, 결국 UX/UI 디자이너의 가치는 디자인 경험을 사용자의 지속적 만족으로 번역하는 힘에 달려 있다.
한국식 UX/UI는 트렌드와 시장 반응 속도에서 경쟁력이 있고, 일본식 UX/UI는 안정성과 사용자 배려에서 강점을 가진다. 따라서 일본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은 한국에서의 화려한 디자인 경험을 단순히 “트렌드 대응”으로만 말하지 말고, 그 경험이 어떻게 사용자 편의와 장기적 충성도를 높였는지를 재구성해야 한다.
즉, 비주얼 중심의 경험을 ‘사용자 중심 가치’로 해석하는 능력이 일본 기업이 원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핵심 역량이다.
'2. 일본기업 직무 > 디자인·크리에이티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기업의 콘텐츠 크리에이터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1) | 2025.09.10 |
---|---|
일본 기업의 그래픽디자이너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0) | 202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