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일본기업 직무/디자인·크리에이티브

일본 기업의 그래픽디자이너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by info-foryou-1 2025. 9. 9.

1. 두 디자이너의 포트폴리오

한국에서 광고 대행사에 다니던 박 디자이너의 포트폴리오는 화려했다. 짧은 기간에 다양한 캠페인을 경험했고, 빠른 결과물 제작이 강점이었다. 반면, 일본 도쿄의 광고 회사에서 일하던 스즈키 디자이너의 포트폴리오는 상대적으로 단출했지만, 한 프로젝트를 수년간 다듬으며 브랜드와 함께 성장한 흔적이 남아 있었다.
두 디자이너의 대비는 단순히 개인의 차이가 아니라, 한국과 일본 광고 업계의 문화적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다.

일본 기업의 그래픽디자이너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2. 사례 1: 한국 그래픽디자이너 – 속도와 다변화

박 디자이너는 글로벌 브랜드의 온라인 캠페인에 참여했다.

  • 과정: 2주 만에 시안 10여 종 제작 → 실시간 피드백 반영 → 최종 결과물 1개월 내 완성
  • 성과: 빠른 반응으로 SNS에서 바이럴 효과, 조회수 100만 회 달성
  • 특징: 짧은 시간에 다수의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중요했고, 매번 새로운 시도를 요구받았다.

한국 광고 업계는 캠페인 주기가 짧고 성과 중심이다. 트렌드에 민감한 시장 특성 때문에, 그래픽디자이너는 신속한 대응과 크리에이티브 다변화에 강해야 한다.

 

 

3. 사례 2: 일본 그래픽디자이너 – 장기적 브랜드 구축

스즈키 디자이너는 전통 음료 브랜드의 리브랜딩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 과정: 1년 넘게 시장 조사·시각 아이덴티티 개발 → 지역 사회 의견 수렴 → 세밀한 디자인 조정
  • 성과: 단기적인 화제성은 크지 않았지만, 브랜드 로고와 패키지가 10년 넘게 유지되며 안정된 고객 충성도를 확보
  • 특징: “당장 반응”보다 “오랫동안 사랑받을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었다.

일본 광고 업계는 보수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을 가진다. 과감한 변화를 주기보다는, 기존 브랜드 자산을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는 접근법이 많다.

 

 

4. 두 사례의 교차점

박 디자이너는 “빠른 작업 능력”으로 성과를 냈지만, 일본 취업 면접에서 그대로 어필하면 “품질보다 속도”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반대로 스즈키 디자이너의 “장기적 개선 경험”은 한국 시장에서는 “느리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 중요한 건 두 접근을 서로 다른 맥락으로 해석해 연결하는 능력이다.

  • 한국 경험 → “속도 있는 크리에이티브 대응”
  • 일본 맥락 → “그 경험을 장기적 브랜드 구축에 적용 가능”

 

5. 일본 취업을 위한 그래픽디자이너 직무 준비 팁

※ 이력서 작성

  • 한국식 경험: “2주 프로젝트에서 SNS 캠페인 디자인 제작, 조회수 100만 달성”
  • 일본식 강조: “빠른 캠페인 경험을 기반으로, 브랜드 정체성 유지와 장기적 가치 강화에 기여”

※ 면접에서 강조할 점

  • 잘못된 접근: “빠른 작업 능력만 강조” → 품질 경시로 비칠 수 있음
  • 바람직한 접근: “속도 경험”을 설명하면서, 그것이 “장기적 브랜드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

※ 일본어 표현 정리

  • 広告デザイン(こうこくでざいん, 광고 디자인)
  • ブランド構築(ぶらんどこうちく, 브랜드 구축)
  • リブランディング(りぶらんでぃんぐ, 리브랜딩)
  • 視覚的アイデンティティ(しかくてきあいでんてぃてぃ, 시각적 아이덴티티)
  • 長期的価値(ちょうきてきかち, 장기적 가치)

※ 면접 예시 문장

  • 「短期間で多様なデザインを制作した経験を、日本企業の長期的なブランド戦略に結び付けたいと考えています。」
    (짧은 기간 다채로운 디자인 제작 경험을 일본 기업의 장기적 브랜드 전략에 연결하고 싶습니다.)
  • 「視覚的アイデンティティを通じて、長期的なブランド価値向上に貢献しました。」(시각적 아이덴티티를 통해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마무리: 속도 vs 장기성, 결국 그래픽디자이너의 가치는 단기적 트렌드 대응을 장기적 브랜드 자산으로 전환하는 안목에 달려 있다.

한국식 경험은 민첩성과 크리에이티브 확산력이 강점이고, 일본식 경험은 브랜드 지속성과 안정성이 무기다. 일본취업을 준비를 위해서는 “내 속도 경험이 일본 기업에서는 어떻게 브랜드 신뢰로 바뀔 수 있는가”를 설득력 있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