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일본기업 연봉 & 커리어

외국인 취업자의 연봉 현실 – 일본인과의 차이는?

by info-foryou-1 2025. 9. 17.

일본 기업에서 외국인 직장인이 경험하는 연봉 구조

1. 외국인 취업자가 연봉 현실을 알아야 하는 이유

일본에 취업하려는 외국인 직장인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일본인과 같은 대우를 받을 수 있는가?”이다. 일본 기업은 최근 외국인 채용을 늘리고 있지만, 여전히 給与格差(きゅうよかくさ, 임금 격차)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신입 단계와 경력 단계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커리어 성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외국인 취업자는 일본인과의 연봉 차이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인 취업자의 연봉 현실 – 일본인과의 차이는?

2. 일본인과 외국인 연봉 차이의 현황

평균 수준 비교

  • 일본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전체 직장인 평균 연봉은 약 450만 엔이다.
  • 외국인 취업자의 평균 연봉은 직무와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일본인과 큰 차이는 없거나 일부 직종에서는 낮게 나타난다.

신입 단계

경력 단계

  • 중도 채용(中途採用, ちゅうとさいよう)에서는 차이가 나타난다. 일본어 능력이나 현지 경험이 부족한 외국인은 일본인보다 낮은 연봉을 제시받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전문 기술(IT, AI, 금융 등)이나 다국어 능력이 강점이면 일본인보다 높은 연봉을 받을 수도 있다.

 

3.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

일본어 능력(日本語能力, にほんごのうりょく)

  • JLPT N1 수준이 아니면 커뮤니케이션 한계로 승진과 보상에서 불리할 수 있다.

직무 성격

  • 서비스업·단순 노동 분야에서는 외국인 임금이 낮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IT·제약·글로벌 영업 직무는 외국인이 더 우대받는다.

근속 연수

  • 일본 기업은 장기 근속을 중시하기 때문에, 외국인이 단기간 이직을 반복하면 보상 곡선이 완만해진다.

비자와 고용 안정성

  • 비자 문제로 장기 고용 불확실성이 있으면 기업이 연봉을 낮게 책정하는 경우가 있다.

 

4. 외국인 취업자가 연봉을 높일 수 있는 전략

일본어 능력 강화

  • JLPT N1, BJT 비즈니스 일본어 시험 자격을 갖추면 협상력이 올라간다.

전문 스킬 확보

  • プログラミング(프로그래밍), データ分析(데이터 분석), 金融知識(금융 지식) 같은 전문성은 일본 기업이 높이 평가한다.

글로벌 역량 활용

  • 英語力(えいごりょく, 영어 능력)과 韓国語力(かんこくごりょく, 한국어 능력)을 무기로 글로벌 프로젝트에서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헤드헌터·에이전트 활용

  • エージェント(에이전트)를 통한 이직은 시장가치에 맞는 연봉을 제시받을 확률이 높다.

 

5. 외국인과 일본인 연봉 비교 요약

         구분                             일본인 평균                    외국인 취업자 평균                     특징
신입사원 250만~280만 엔 250만~280만 엔 큰 차이 없음
중도 채용 400만~500만 엔 350만~500만 엔 일본어·경력에 따라 격차 발생
전문직/글로벌 600만 엔 이상 600만~700만 엔 외국인이 더 높은 사례 있음
  

6. 관련 일본어 표현

  • 給与格差 (きゅうよかくさ) = 임금 격차
  • 新入社員 (しんにゅうしゃいん) = 신입사원
  • 中途採用 (ちゅうとさいよう) = 중도 채용
  • 日本語能力 (にほんごのうりょく) = 일본어 능력
  • 英語力 (えいごりょく) = 영어 능력
  • 年功序列 (ねんこうじょれつ) = 연공서열
  • 専門職 (せんもんしょく) = 전문직
  • エージェント = 에이전트, 헤드헌터

 

마무리

 

외국인 취업자의 연봉 현실은 “일본인과 동일한가, 차이가 있는가?”라는 단순한 이분법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신입 단계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경력과 직무에 따라 일본인보다 불리하거나 유리한 경우가 모두 존재한다. 결국 외국인 직장인의 연봉을 결정하는 핵심은 日本語能力(일본어 능력) + 専門スキル (전문 스킬) + グローバル対応力 (글로벌 대응력) 의 조합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인 취업자는 단기적 격차에만 주목하기보다, 자신의 長期キャリア設計(ちょうきキャリアせっけい, 장기 커리어 설계) 속에서 일본 연봉 현실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