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외영업 직무의 의미
해외영업은 단순한 영업 활동이 아니라, 해외 시장 개척·파트너 발굴·수출 계약·글로벌 고객 관리까지 포함하는 전략적 직무다. 특히 일본 기업은 해외 시장에서 신뢰 기반 비즈니스를 추구하기 때문에, 해외영업 담당자의 역할은 기업의 국제 경쟁력과 직결된다.
한국과 일본 모두 해외영업은 중요한 직무지만, 업무 방식과 커리어 전략은 문화와 기업 운영 철학의 차이로 인해 달라진다. 일본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한국식 해외영업 경험을 일본식 맥락에서 어떻게 재구성할지 고민해야 한다.
2. 한국 기업의 해외영업: 속도와 시장 점유율
한국 기업의 해외영업은 빠른 시장 진출과 점유율 확대가 중심이다.
- 신속한 의사결정: 새로운 시장 기회가 보이면 빠르게 파트너십을 맺고 진출한다.
- 공격적 마케팅: 가격 경쟁력, 프로모션, 단기 성과를 중시한다.
- 성과 중심 평가: 수출 실적, 신규 고객 수, 매출 증가율이 성과 지표다.
- 사례: 한국 전자기업의 해외영업 담당자는 전시회 참가와 온라인 미팅을 통해 단기간에 다수의 계약을 체결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다.
📌 한국식 해외영업 요약: 속도와 실적 중심의 확장 전략
3. 일본 기업의 해외영업: 신뢰와 장기적 협력
일본 기업의 해외영업은 관계와 지속 가능성을 중시한다.
- 철저한 조사와 준비: 시장에 진출하기 전 현지 문화·규제·관습을 세밀히 조사한다.
- 장기적 파트너십: 단기 성과보다 현지 기업과 장기적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데 무게를 둔다.
- 보수적 확장: 빠른 계약보다 신뢰할 수 있는 몇몇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 성장을 추구한다.
- 사례: 일본 자동차 기업은 해외 진출 시 현지 합작사를 설립하고 수십 년간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시장에 뿌리를 내린다.
📌 일본식 해외영업 요약: 신뢰와 장기적 관계 중심의 안정 전략
4. 한국 vs 일본 해외영업 비교
핵심 가치 | 속도, 점유율 확대 | 신뢰, 지속 가능성 |
접근 방식 | 공격적·단기 성과 중심 | 신중·장기적 관계 중심 |
계약 형태 | 단기·다수 계약 | 장기·선별적 계약 |
준비 과정 | 빠른 실행, 시장 적응 | 철저한 사전 조사 |
5. 일본 취업을 위한 해외영업 직무 준비 팁
※ 이력서 작성
- 한국식 경험: “1년간 신규 해외 고객 100곳 발굴, 수출액 200% 증가”
- 일본식 강조: “단기 수출 실적뿐만 아니라, 장기적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안정적 거래 구조를 확립”
※ 면접에서 강조할 점
- 잘못된 접근: 단기간에 계약을 얼마나 많이 체결했는지만 강조
- 바람직한 접근: “빠른 계약 성사 경험”을 말하면서, 그것이 “장기적 신뢰 관계와 재계약으로 이어진 과정”임을 설명
※ 활용하면 좋은 일본어 표현
- 海外営業(かいがいえいぎょう, 해외영업)
- 信頼関係(しんらいかんけい, 신뢰 관계)
- 長期的協力(ちょうきてききょうりょく, 장기적 협력)
- 合弁会社(ごうべんがいしゃ, 합작 회사)
- 市場調査(しじょうちょうさ, 시장 조사)
※면접 예시 문장
- 「短期的な成果だけでなく、現地企業との信頼関係を重視し、長期的な協力体制を築いてきました。」
(단기 성과뿐 아니라, 현지 기업과의 신뢰 관계를 중시하며 장기적 협력 체제를 구축해왔습니다.) - 「海外営業において、御社のブランド価値を現地市場に合わせて展開できると考えております。」(해외영업에서 귀사의 브랜드 가치를 현지 시장에 맞게 전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무리: 속도 vs 신뢰, 결국 해외영업 경험을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으로 전환하는 안목이 필요
한국 기업은 속도와 성과를 무기로 단기간에 시장을 확대하지만, 일본 기업은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시장을 공략한다. 따라서 일본취업을 준비하는 지원자는 자신의 경험을 단순한 수치 성과로만 전달하지 말고, 그것을 어떻게 장기적 가치와 연결했는지를 강조해야 한다.
즉, 단기적 성과를 장기적 협력으로 이어가는 스토리텔링 능력이 일본 기업이 원하는 해외영업 인재상을 완성하는 핵심 포인트다.
'2. 일본기업 직무 > 영업·고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기업의 고객관리(CS)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2) | 2025.09.02 |
---|---|
일본 기업의 영업(Sales) 직무,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5) | 2025.09.01 |